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9

수행평가(세특) 의대 추천 도서 목차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추천하는 수행평가 도서 의학 계열 추천 도서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추천하는 수행평가 도서 서울대학교 입학 관련 아로리 홈페이지를 가시면 연도별 각 학과별 학생들이 입학을 위해 읽었던 도서를 추천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해당 부분을 참고 하시면 각 계열 별 추천 도서에 제일 좋은 책들을 선별해서 읽을 수가 있습니다. http://snuarori.snu.ac.kr/renew/admission_guide/typical_guide2.php 의학 계열 추천 도서 https://www.yes24.com/Product/Goods/267971 침묵의 봄 - YES24 환경/생태학 분야의 고전이며 20세기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책 중의 하나. TIME지가 뽑은 20세기를 변화시킨 100인 가운데.. 2023. 7. 22.
수행평가(세특) 자기주도적 학습 도전 목차 자기주도적 학습 도전 기재 방법 공동체 역량 기재 방법 자기 성찰 관련 자기주도적 학습 도전 기재 방법 자기주도적 학습 도전이란 자기가 수업시간이나 공부를 하면서 궁금했던 내용에 대해 스스로 파악을 하고 이에 대한 심화 활동이나 강한 호기심을 느끼고 공부한 경험을 이야기합니다. 예를 들어, 본인이 생물 시간에 유전자 변형에 대해 배우고 신문 기사를 통해 해당 내용에 대해 최근 기술과 동향에 대해 호기심을 느껴 조사를 했다면 그런 활동에 대한 경험이 이에 해당합니다.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해 대학교에서는 스스로 학습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학생인지를 판단하는데 활용을 하게 되고, 이를 위해 자기 스스로에 대한 호기심을 바탕으로 독서, 논문 읽기, 기사보기, 인터넷 활용, 질문, 토론 등과 같이 다양.. 2023. 7. 22.
심화 세특 주제(23.07.20) AI, 로봇의 지배 목차 문제의 제기 관련 과목 AI 및 로봇으로 인해 변화할 세계 (도서 추천) 심화 탐구 주제 선정 결론 문제의 제기 최근 AI, 로봇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 인류의 삶이 엄청나게 바뀌고 있습니다. 21년 ChatGPT만해도 기존의 검색 시장을 바꾸는 것은 물론 인간의 일자리까지 위협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인공지능과 연계된 로봇 기술도 사람과 같이 두발로 걷고 물건을 들고 일상 생활에서 필요한 활동을 할 수 있는 단계까지 이르렀습니다. 이런 AI와 로봇이 일상화되는 시대를 앞두고 우리 인류는 어떤 자세로 이 시대를 맞이해야 할까요? 인공지능에 대한 긍정적 입장과 부정적 입장이 대립은 하고 있지만, 인류의 편리함 앞에서 부정적 입장은 그저 기우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2023. 7. 20.
심화 세특 주제(23.07.19) 초고령화 사회와 치매 문제 목차 우리나라 초고령화 사회 진입과 치매 치매로 인한 사회적 문제 분석 신약 개발과 약물 치료, 한계점 치매 문제의 일반화 따른 사회적 대응 방안 필요 결론 참고 논문 우리나라 초고령화 사회 진입과 치매 우리나라 최고령화 속도 세계 최고 수준임과 동시에 치매 인구가 2050년경 300만명 예상되는 수준입니다. 여기서 문제는 우리 나라의 노령 인구 대비 치매 비율이 전 세계 대비 굉장히 높다는데 있습니다. 노인 대비 치매 비율이 2050년 기준 세계 8.5% 대비 우리나라는 15.9% 가량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빠른 증가율을 갖는 우리나라 치매에 대해 환자, 가족의 심리적, 경제적 부담이 매우 극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적 복합 문제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입니다. 이에 따.. 2023. 7. 19.
심화 세특 주제(23.07.18) AI와 데이터 소유권 금일 심화 주제는 주요 키워드 및 목차 위주로 작성을 드립니다. 목차 AI 시대 데이터의 중요성 데이터 소유권 개념 필요성 개인정보 저작권 각 정부의 입법 예고 결론 참고 논문 AI 시대 데이터의 중요성 2021년 GPT로 시작된 AI 열풍 엄청나게 시대를 바꾸고 있다. AI 통한 변화하는 사회의 모습 더욱 편리 하지만 그와 관련된 여러 법적, 윤리적 문제가 발생한다. 이번 시간 학습에 기반 데이터 관련 이슈 사항 살펴본다. AI 학습에는 대량의 데이터 필요. 해당 데이터를 근간으로 새로운 인공지능 모델 생성 재학습의 지속적 과정이 필요. 해당 데이터 웹, SNS 상 데이터 현재까지 무차별적 사용. 이에 대한 데이터 소유권 개념 필요. 데이터 제공자는 몰랐지만 가공된 AI 통해 이익을 얻는 주체 생겨. .. 2023. 7. 18.
수행평가(세특) 수학, 화학 진로 주제 목차 세특 기재 요청 사항 수학 세특의 화학으로의 연계 추천 주제 세특 목차 세특 기재 요청 사항 수학 (특히 수1) 과목을 연계하여 화학 관려 진로(화학공학, 화학과 등)을 고려한 세특에 대한 기재 요청사항입니다. 수학 과목은 다양한 공학이나 자연과학에 기반이 되는 과목으로 수학 대부분이 이러한 전공들과 자연스럽게 연계가 됩니다. 다만, 해당 연계를 위한 Key 곧 연결 고리를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수학 세특의 화학으로의 연계 수1에는 지수, 로그, 삼각 함수 등 함수와 관련한 개념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수학에 있어서 함수란 변수를 입력함에 따른 결과 값이 어떻게 나오게 되는지 그에 대한 인과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모든 수학적 개념의 기반이 됩니다. 공학, 자연과학에서 모델이란 말로 표현이 되기도 .. 2023. 7. 17.
심화 세특 주제(23.07.17) 엘리뇨와 지구온난화 목차 주제 탐구 배경 엘리뇨 및 라니냐의 정의 지구 온난화와 엘리뇨의 상관 관계 기상이변이 인류의 삶에 미치는 영향 대응 방안 및 결론 주제 탐구 배경 최근 미국은 53도의 폭염에 유럽은 고온으로 인한 산불, 그리고 인도와 한국 등은 극심한 홍수를 겪는 등 전 지구적 기후 재앙을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나 올해는 엘리뇨 현상으로 동태평양 해수의 기온이 높음에 따라 미국, 유럽에 더욱 고온 현상이 심하다고 전문가들이 이야기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엘리뇨나 라니냐 현상이 기상 이변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 지구적인 기온 상승이 이러한 주기적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쳐 더욱 기후 재앙을 강화하는 것이 아닌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시점이란 생각이 들었고, 이에 대해 탐구를 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특히.. 2023. 7. 17.
수행평가(세특) 화학, 약대 진로 관련 목차 세특 요청 사항 화학 관련 주제 발굴 심화 탐구 주제 추천 관련 도서 추천 세특 목차 세특 요청 사항 화학 과목에 대한 세특을 준비 중에 약대를 지원하기 위한 진로 방향으로 세특에 대한 요청입니다. 우선 화학 과목은 주요 파트인 챕터 5에 현대의 화학이란 부분에 제약 파트가 교과서에 수록이 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 이슈가 되는 제약 관련 사항을 잘 녹여내면 문제 없이 세특을 기재할 수 있습니다. 약대를 지원하고자 한다면 생명공학 계열로 화학에 가점이 들어갈 수 있고, 주관적으로도 가점 평가 요소로 볼 여지가 많기 때문에 최근 이슈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잘 보여줄 수 있게 기재를 해야 합니다. 화학 관련 주제 발굴 화학 교과에서 다루는 화학물에 대한 특성을 기반으로 최근 생명공학 관련 제약 기.. 2023. 7. 16.
반응형